본문 바로가기
영화이론공부

다큐멘터리 영화

by 창조하는 인간 2021. 12. 18.

1. 다큐멘터리 영화의 발전

 

(1) 무성에서 유성으로 

루이, 어거스트 뤼미에르 형제 - 1895년 인류 최초의 영화.

1895~1907년까지 만들어진 대부분의 영화는 다큐멘터리 영화.

가짜다큐멘터리의 제작이 증가하면서 1907년 이후 쇠퇴.

1910년 프랑스 파테, 고몽(영화사) - 혼합 다큐멘터리 원필름을 상영. = 뉴스릴

영화매체의 권력을 간파한 영화가나 정부, 사회제도가 다큐멘터리 형식의 역사를 발전시킴.

소비에트 영화 제작과 다큐멘터리 미학에서의 선구자적인 인물- 지가 베르토프.

진실한 주제, 즉 체험한 세계를 선호하면서, 촬영 대본, 구성된 세트, 연기자의 인위성을 거부해야 한다고 주장함.

1차 세계대전 이후 미국에서 다큐멘터리에 대한 충동은 장편 분량의 기행 영화의 출현으로 나타남.

다른 대륙의 낯선 문화를 영화화하는 붐을 주도한 것은 로버트 플레허티의 북극의 나누크의 대중적 성공.

북극의 나누크는 민족지 영화와, 극적으로 영화적 구조를 만족시키면서도

실제 삶을 다룰 수 있는 다큐멘터리의 상업적인 잠재성, 이라는 두 가지 측면에서 관심을 불러일으킴.

다큐멘터리라는 용어 탄생.

 

북극의 나누크 포스터 (출처: 위키백과) 

 

(2) 음향과 사회 개혁

1920년대 이국적인 다큐멘터리의 상태적인 성공에도 불구하고, 1927년 영화에 음향이 도입되고 나서야

비로소 다큐멘터리 형식이 잠재적으로 지니는 교육적*사회적*정치적인 힘이 인식되었다고 볼 수 있다.

미국에서 19275월 폭스 무비톤 뉴스는 최초로 광학적인 음향 체계를 사용한 뉴스릴을 배급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미국에서 영화는 흥행 산업으로, 그리고 상품으로 간주되었다. 영국의 상황은 달랐다.

독학으로 매체를 공부한 존 그리어슨은 제국시장 위원회라고 불리던 정부 부서에 들어가서

영화 제작이 대중에게 위원회의 영국 식량 공급을 알릴 수 있는 도구가 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초기 영국 다큐멘터리는 비교적 직설적으로 영국 노동자를 찬미하고 있다.

영국 다큐멘터리는 미국 대공황 시기에 부상한 장르에 큰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유럽의 소수의 다큐멘터리에도 영향을 미쳤다.

미국사회가 직면한 문제를 직시하는 사회적으로 의미 있는 다큐멘터리를 창조하는데 몰두했다.

 

(3) 설득과 선동

사회적이고 경제적인 힘의 증가를 의식하기 시작했던 1930년대 미국은 다큐멘터리에 대한 충동에 사로잡혔다.

진실에 충실한 속임수 - 시간의 행진. 스페인의 파시스트 운동을 반대 - 스페인의 대지

주거조건, 인종차별, 노동조합, 도시 황폐화 - 도시 (윌라드 반다이크, 랄프 스테이너)

선동 - 전쟁 후 사회개혁이라는 백색 선동은 나치에 대한 흑색선전으로 바뀌었다.

영화의 잠재적인 설득력을 충분히 인식하고 있었던 히틀러는 레니 리펜슈탈에게1934년 뉘렘베르그 나치 전당대회를 기록하라고 명령했다.  ex 영화 "의지의 승리"

 

영화 "의지의 승리" 중 한장면 (출처 : 위키백과_ 

영국다큐멘터리의 황금 시절- 알베르토 카발칸티, 해리와트, 폴 로사, 험프리 제닝스...

 

전쟁기간 중 증가한 다큐멘터리 제작은 전쟁이 끝난 뒤 감소하게 된다.

궁핍에 지쳤던 대중은 긴급한 사회적 병폐에 대한 사실적 묘사를 더 이상 보고 싶어 하지 않았을 것.

-또 다른 두 가지 요인 -

첫째, TV의 출현

둘째, 부피 크고 무겁고 다루기 어려운 장비들.

 

(4) 다큐멘터리와 텔레비전 : 새로운 기술과 형식

영화 다큐멘터리를 부활시킨 것은 바로 텔레비전이었다.

에드워드 머로우는 텔레비전 다큐멘터리는 당대의 양심이 될 수 있다는 신념을 가졌으나,

그것이 후원자와 방송망의 양심도 될 수 있다는 사실에 의해 오염되었다.

첨가된 인터뷰가 시청자들의 시청각적 흥미를 유발시켰고, 이런 방식은 좀 더 손쉽게 들고 다닐 수 있는 편리한 장비의 발전을 가져왔다. 1950년대 동안 포터블 16밀리 카메라가 부피가 크고 무거운 36밀리 카메라를 대체하기 시작했다.

어깨가 트라이포드를 대체했고, 이전에 카메라를 고정시켜 오랫동안 들여다보던 촬영 방식은 들고 찍기 촬영으로 대체되었다.

1958년 조직된 드류 집단은 현대 다큐멘터리 운동에서 중요한 지위를 차지하게 되는 영화가들로 구성되었다.

펜느베이커는 음악 다큐멘터리로 젊은 관객을 사로잡았는데, 록 다큐멘터리라는 장르로 자리 잡게 된다.

앨버트, 데이비드 메이슬레 형제는 현대 다이렉트 시네마의 불후의 고전 중 하나인 세일즈맨을 제작했다.

 

https://m.blog.naver.com/cine_play/220774912409?view=img_1 

 

핸드헬드에 대해 알아봅시다

<제이슨 본>이 개봉했다. <제이슨 본>을 첩보액션블록버스터라고 한다면 방점은 액션에 찍힌다...

blog.naver.com

 

- 다이렉트 시네마의 탄생 

로버트 드류와 리처드 리콕이 만든 프라이머리라는 영화를 통해 우리가 다이렉트 시네마(영화가/관찰자가 통제하지 않았거나 최소한으로 조작한 듯이 보이는 형식을 가진)라고 부르는 영화가 시작 되었다고 볼 수 있다.

영화가가 최대한의 기동력과 최소한의 개입으로 영화를 만들고 음향을 녹음할 수 있게 해 준 새로운 기술에 대한 다큐멘터리의 반응이 단지 미국에서만 다이렉트 시네마의 발전으로 나타난 것은 아니었다.

 

- 시네마 베리테의 탄생 

프랑스에서 한여름의 연대기의 배급은 시네마 베리테의 탄생을 예고했다.

이 다큐멘터리 형식은 다이렉트 시네마와 혼동되었는데,

그 이유는 양자가 전통적인 내레이션과 조작적인 편집을 거부하면서, 인터뷰와 롱 테이크를 사용하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다이렉트 시네마와는 달리 한여름의 연대기에서 영화가와 카메라는 자체의 존재로서 삶을 노출시키고 변경할 수 있는 능력을 인식하고 행위의 촉매자로 기능하면서 영화에서 일정 부분 역할을 담당한다.

실제로 지가 베르토프에게 경의를 표시하면서 키노프라우다(영화/진실)를 프랑스어로 번역한 단어에서 파생된 시네마 베리테라는 용어는 영화가 뿐만 아니라 제재 자체가 양산하고 창조하는 영화 진실이라는 의미를 지닌다.

주로 유럽 다큐멘터리 영화가들이 사용한 이 형식은 서사 다큐멘터리에 큰 영향을 미쳤다.

오늘날 다큐멘터리 영화는 철학적이고 미학적인 두 가지 접근에서 다수의 전통을 가진다

 

지가베르토프 (출처 : 나무위키) 

2. 다큐멘터리 영화

비허구 영화는 대안적인 영화 형식을 구성한다. 일반대중이 보는 대부분의 비허구 영화는 다큐멘터리, 즉 체험한 세계를 탐험하거나 기록한 영화다. 다큐멘터리의 종류는 제재에 대한 다양한 철학적, 미학적, 기술적 접근에 따라 매우 다양하다.

 

(1) 실재의 이미지

스크린에서 실제 사건과 인물이 재현되는 다큐멘터리는 관객의 교육과 설득을 강조한다.

허구 영화는 강조점을 관객을 즐겁게 하는 것에 둔다. 계몽시키는 경우도 있다.

결국 스크린에서 보여지는 다큐멘터리와 허구 영화의 이미지와 음향은 우리가 체험한 세계의 일상적인 존재를 연상시켜주는 리얼리티의 재현으로서 기능한다.

다큐멘터리의 기본적인 전재는 재현 방식이 비허구(스크린에서 보고 음향 트랙으로 들은 것이 표현적인 목적을 제작되지 않은)이며,

우리가 일상에서 보고 들은 것과 영화화된 사건의 장면에서 보고 들은 것이 강력한 유사성을 담보한다는 점이다.

다큐멘터리를 가장 유용하게 논의할 수 있는 방식은 다큐멘터리가 제재와 관객 사이의 관계를 어떻게 가정하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특정한 기능은 특정한 구조와 밀접한 관계를 가진다.

 

(2) 형식과 기법

원필름은 다큐멘터리 영화의 기본적인 재료다. 일종의 자료. 촬영이나 편집 과정이 최소한의 영향을 미친 사건의 기록을 말한다.

원필름에는 영화가의 조작이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볼 수 있다.

원필름이야 말로 관객에게 인간이 접해 볼 수 있는 가장 시원적인 경험을 전달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 기록을 만든 영화가의 현존과 감수성은 사실상 드러나지 않게 된다.

그러나 관객에게 상영되고 보여지는 다큐멘터리 영화는 더 이상 원필름이 아니다.

실제로 다큐멘터리라는 용어는 실제 사건의 기록이라는 의미뿐만 아니라 철학, 이데올로기, 미학,

즉 제한된 인간의 관점으로 재료를 질서화 하는 단일화된 영화적 구조라는 개념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다큐멘터리 영화가는 원필름이 재현하는 사건과 관객 사이의 매개자로서 행동한다.

특정한 영화에서 영화가가 선택한 기법과 구조는 영화가와 원필름의 관계,

관객과 영화의 의도된 기능과 영화가가 지니는 관계에 관해 무엇인가를 말해준다.

 

Photo by Jonas Liübartas on Unsplash

 

(3) 다큐멘터리의 기능

- 관찰

다큐멘터리를 만드는 사람은 자신이 어떤 종류의 관찰자가 되어야 할지를 선택해야 한다.

특정한 다큐멘터리 철학 -

영화화된 사건의 통합성 유지, 의미는 사건에 내재, 카메라는 영화가의 설명적인 매개 없이도 의미를 기록해서 관객에게 보여줄 수 있음.

일반적으로 다큐멘터리의 중요한 두가지 형식은 최소한의 개입이라는 이런 다큐멘터리의 철학을 적용

 ex 민족지 영화. 다이렉트 시네마.

스타일상에서 민족지 영화는 롱 테이크, 줌 렌즈, 움직이는 카메라를 많이 사용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 모든 것은 시간적, 공간적, 연속성을 유지시켜 주고, 개별 시퀀스의 통합을 유지할 목적으로 사용된다.

음향은 동조화된 음향과 비동조화된 보이스 오버 내레이션 두 가지가 사용되는데,

전자는 이미지가 진짜임을 증명하기 위해 사용되고,

후자는 그것을 사용하지 않으면 서구 관객이 이해할 수 없는 것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다.

민족지 영화는 우리 자신의 문화가 가지는 여러 측면을 보존하고 기록하기도 한다.

다이렉트 시네마는 민족지 영화와 매우 유사, 영화가의 목표는 통제되지 않은 상황에서 관찰하고 기록하는 것.

ex 프레데릭 와이즈만

 

프레드릭 와이즈먼 (출처 : 위키백과) 

민족지 영화가나 와이즈만과 달리,

메이슬레 형제는 일상적인 삶의 비일상적이고 예외적인 순간과 위기, 경쟁, 갈등을 보여주는 극적인 구조 위에 설정된 피사체를 찾아다닌다.

스타일상에서 다이렉트 시네마는 롱테이크, 줌렌즈, 핸디헬드 카메라를 사용한다는 점에서 많은 부분이 민족지 영화와 유사하다.

그러나 다이렉트 시네마는 동시 음향만을 사용하고, 내레이션을 사용하지 않는다.

초기 다이렉트 시네마의 이미지와 음향은 기술적인 미숙함이 특징이었다.

흔들리고 초점이 맞지 않는 이미지, 형편없는 조명, 선명하지 않은 음향 트랙은 통제되지 않은 자발적인 영화 제작 환경과 적절하지 못한 기술의 산물이었다.

다이렉트 시네마는 보수적인 다큐멘터리.

 

- 분석

분석적 다큐멘터리는 민족지 영화처럼 제재에서 과학적으로 분리되지도 않고,

다이렉트 시네마 영화처럼 모호하게 제시하지도 않는다.

분석적 영화가는 자신의 현존을 매개자로 인식하면서 영화 기록의 통합과 관객에게

영화가 객관적이지는 않지만 공정하다는 인상을 주는 제시 방식에 의존한다.

ex 편찬영화, 시네마 베리테, 서사 다큐멘터리.

 

편찬영화 - 기존의 원필름으로 만드는 다큐.

시네마 베리테 - 기술적 미숙함, 굵은이미지, 빈번한 들고찍기, 우연한구성, 거친음향트랙, 다이렉트 시네마와 유사.

서사 다큐멘터리 - 편찬영화 + 시네마 베리테

 

- 설득

설득 다큐멘터리- 영화는 무엇인가를 설득할 수도 있고, 하나의 관념을 팔거나 조장할수도 있고, 관점을 변화시킬수도 있고,

어떤 주장을 호소할 수도 있고, 관객에게 경제적, 정치적, 사회적 행위를 선동할 수도 있다.

스타일은 메시지를 최상으로 전달하려는 목적을 위해서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모든 기법을 사용하기 때문에 절충적인 경향이 있다.

 

미학적 표현 : 시와 드라마

시적인 다큐멘터리의 최초 그리고 최고의 영화가 였던 플레허티는 미적 감각을 가지고 있었고 , 그것을 자신의 비전의 한 부분으로 통합했다. 자연의 힘에 맞서 승리하는 문명의 때가 묻지 않은 자연인’.

시적 다큐멘터리는 소나기처럼 당연하게 여겨오던 현상과 일상의 작은 사건이 보여주는 아름다움, 유형, 리듬을 기록하길 원하는 영화가의 제작 경향이 될 수도 있다.

 

로버트 플레허티 (출처 : 위키백과)

재창조 : 다큐멘터리의 윤리학

다큐멘터리 영화에서 진실과 리얼리티를 찾으려 한다면 영화가의 훌륭한 신념과 우리 자신의 건강한 회의주의에 의존하는 수밖에 없다.

조작하기 위해 진실과 현실을 복잡하게 연결하는 영화 형식을 선택한다는 사실을 기억해야 하는 것이 다큐멘터리 영화가의 도덕적 책임이라면, 결국 자신이 영화를 보고 있다는 사실을 기억해야 하는 것은 관객의 책임이다.

 

참고도서 

<영화란 무엇인가 - 영화의 역사, 형식, 기능에 대한 이해>
토마스 소벅 등저 / 주창규 등력 / 거름/ 1998331

'영화이론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애니메이션 강국과의 비교 분석  (0) 2021.12.19
대한민국 애니메이션의 역사와 현황  (0) 2021.12.18
할리우드 스타 시스템  (0) 2021.12.18
비장르와 서사 영화  (0) 2021.12.17
장르영화와 서사  (0) 2021.12.17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