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71

SF에 반영된 외계와 미국인의 세계관 6장 영화와 텔레비전에 스며든 시각 외계인의 이미지는 고정되어 있지 않아서 그것이 대두되고, 사용되는 사회의 맥락에 따라 조금씩 달랐다. 텔레비전에서 우리는 항상 미국인이고 SF영화는 미국인의 세계관을 지지한다. 문화 시스템에 수반되는 가장 복잡한 관계 중 하나는 문화와 문명 사이의 관계성이다.. 유럽인들은 아시아인, 유럽인, 아프리카인 이외의 종족을 별개의 다른 인종으로 인식했다. 텔레비전과 영화 스크린에서는 외게 혹은 우주로 치환된 문화과 문명 구분이 끝없이 논쟁 중이다.. 아르준 아파두라이는 미디어스케이프라고 명명한 공간 속에서 외계인에 대한 논쟁이 끊이질 않는다고 했다. 미디어 스케이프는 영상문화의 핵심적 위치를 차지하며 현실의 파편들을 이미지와 내러티브 중심적으로 설명하는 경향이 있으며, 그것의.. 2021. 12. 15.
영상속 젠더 문제들 5장 성을 바라보는 시각 섹슈얼리티는 분열한다. 문화가 종종 분리된 하나의 사물로, 사회적 관계들의 이음새 없는 망으로 나타날 때, 섹슈얼리티는 외투를 벗기는 하나의 느슨한 맺음이다. 권력, 문화의 필연적 공존 - 젠더, 섹슈얼리티, 인종에 대한 근대의 선입관을 연상. 서양문화가 젠더와 성의 구별을 시각화하는 방식, 젠더와 섹슈얼리티가 구축한 방식들 자체에 내재해 있는 환상적 시각. (1) 남성의 시선으로 보다. 시선에 대한, 즉 페티시즘과 응시를 다룬 정신분석 이론들 가운데 가장 중요한 두 이론이 남성 혹은 여성 관찰자가 특히 남성이 본 것에 대한 오인에 의존한다는 점. 1927 프로이트 - 페티시즘. 페티시- 유럽인들이 잘못 묘사해 만든 용어. 페니스의 대체물. 프로이트 - 인종과 섹슈얼리티 사이의 .. 2021. 12. 15.
이미지와 가상 공간 , 현실 속 매체 변화 3장 가상성의 시대 가상성은 어디에나 존재한다. 그 이름은 다양하며 기계에 따라 접근 방식이 여럿일 수 있다. 가상성은 현실은 아니지만 현실로 존재하는 것처럼 보이는 하나의 이미지 혹은 공간이다. 현대적 가상성 개념에는 사이버스페이스, 인터넷, 전화, 텔레비전, 가상현실 등이 포함된다. 상대방과 전화를 할 때 생겨나는 가상공간,, 내가 있는 곳도 아닌 다른 사람이 있는 것도 아닌 어느 중간지점을 가상현실이라고 한다. 가상성의 역사는 18세기 고전주의부터 꽤나 오래되었다. (1) 가상성과 인터페이스 공간이란 단순히 비어있는 것이 기는커녕, 일종의 복합적 현상이다. 첫째, 사용자들이 가상적 고전성에 접속 할 수 있는 갤러리나 미술관 등의 사회적 공간이 있다.. 사회적 공간은 초기 근대 유럽의 이른바 ‘공공영.. 2021. 12. 15.
회화에서 사진으로 이미지 기록의 변화 2장 사진의 시대 영상문화가 일상생활의 모더니티의 조우의 산물이라면, 사진은 조우 과정의 고전적 사례다. 사진이 창안되고, 새로운 시대가 밝았다 했으나, 사진은 영화로 진화했고, 이제는 컴퓨터로 이미지 제작이 가능해지면서,, 사진은 조작이 가능해지고, 사진이 죽었다고 말한다. 현실의 표상으로서 사진의 역할은 사라지고 있다. (1) 오늘부터, 회화는 죽었다! 프랑스 화가 폴 들라로슈는 다 게 레오 타입을 이해했다. 다게레오 타입은 오늘날 우리가 사진이라고 부르는 최초의 과정이었다. “오늘부터 회화는 죽었다”라는 그의 외침. 그의 다음세기에 프랑스 미술의 변화 : 인상주의, 후기인상주의, 입체주의 , 초현실주의. 15세기 유화 창안 이후 회화가 시각예술의 최고의 한 분파로 간주됐지만, 18세기 이후 카메라 .. 2021. 12. 14.
이미지의 기록에 관하여 1장 그림의 시대 고급 예술 이미지가 19세기 중엽 사진의 도전을 받기 전까지 현실을 표상하는 가장 세련된 수단으로 인정받을 수 있었던 이유에 대한 고찰. 그림은 현실과의 어떤 마술적 유사성이 정의하는 것이 아니라, 롤랑바르트 “현실효과”“현실 효과”를 창조할 수 있는 그림의 능력이 정의한다. (1) 중세와 근대를 가로지르는 원근법 영상문화 창조의 열쇠는 이해 가능성이지, 과학적 사고와의 조화 가능성이 아니다. 주요 사례로는 원근법, 즉 2차원 시각 이미지에서 깊이감을 전달하는 데 사용되는 수렴선 체계를 들 수 있다. 원근법은 중세 시각 이론과 세상을 그리려는 근대적 욕구의 혼성이다. 유럽예술에서 보편적이게 사용되던 원근법, 그러나 눈의 작용은 여전히 미스터리였다. 알하젠의 “시각피라미드” 중세와 근대 .. 2021. 12. 14.